2030세대의 마음을 잡아야 당선이 보인다. 이재명, 김문수, 이준석 세 후보가 청년 공약을 본격 발표했습니다. 특히 ‘청년주택’, ‘가상자산 ETF’, ‘군복무 호봉 반영’ 등 실질적인 삶과 직결된 공약들이 쏟아졌습니다. 지금 확인하지 않으면 놓칠 수 있습니다.
청년 대출부터 코인 제도화까지, 누가 진짜 청년의 편인가요?
이재명: 청년 자산 형성과 복지에 집중
이재명 후보는 ‘청년의 기회와 희망’을 슬로건으로, 재무 상담부터 군복무 호봉 반영까지 종합적인 청년 지원책을 발표했습니다.
특히 청년내일채움공제를 확장한 ‘청년미래적금’과 가상자산 투자자 보호를 위한 ‘현물 ETF’ 도입이 핵심입니다.
✔️ 청년미래적금 도입
✔️ 자발적 이직자 생애 1회 구직급여 지급
✔️ 공공기관 군복무 경력 호봉 반영 의무화
✔️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 및 통합감시시스템 구축
✔️ 가상자산 거래 수수료 인하 유도
✔️ 국민연금 첫 납입 보험료 국가 지원
✔️ 군복무 연금 크레딧 전면 확대
김문수: 주거 지원과 출산 장려에 방점
김문수 후보는 ‘결혼-출산-주거’를 연결한 ‘3·3·3 청년주택’ 공약으로 현실적인 청년 삶의 부담을 줄이겠다고 약속했습니다.
이외에도 군 가산점 부활과 AI 스타트업 촉진 등 보수적 강경책과 실용 정책을 혼합한 구성이 특징입니다.
✔️결혼 후 3년 + 첫째 3년 + 둘째 3년 총 9년 주거 지원
✔️ 청년주택 연 10만호 공급
✔️ 군 가산점제 부활
✔️ 신생아 특례대출·생애 최초 대출 요건 완화
✔️ 대학가 반값 월세·공공 기숙사 확대
✔️ 대기업 공채 제도 부활 장려
✔️ AI 청년인재 20만명·무역전문인력 10만명 양성
✔️ AI 청년 스타트업 빌리지 전국 확대
이준석: 대출과 부처 개편 중심의 현실적 접근
이준석 후보는 직접적인 청년 금융 지원과 젠더 이슈 중심의 부처 개편안을 공약으로 내세웠습니다.
청년 전용 저금리 대출과 여성가족부 폐지 등이 핵심입니다.
✔️ 만 19~34세 대상 5000만원 한도 저금리 대출 (연 1.7%)
✔️용도 제한 없이 분기당 최대 500만원 지급
✔️ 여성가족부 폐지 및 업무 이관
✔️청년 도전 응원 슬로건 강조
후보별 청년 공약 핵심 비교표
후보 | 핵심 주제 | 주요 공약 |
---|---|---|
이재명 | 자산 형성 + 복지 확대 |
- 청년미래적금 - 가상자산 ETF 도입 - 군복무 호봉 반영 - 국민연금 첫 납입 지원 |
김문수 | 주거 지원 + 출산 장려 |
- 3·3·3 청년주택 - 군 가산점 부활 - 대기업 공채 부활 - AI 인재 육성 |
이준석 | 금융 지원 + 행정 개혁 |
- 최대 5000만원 청년대출 - 여가부 폐지 - 행정부처 이관 |
자주 묻는 질문(Q&A)
Q1. 청년미래적금은 어떻게 운영되나요?
A. 청년이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와 기업이 매칭해 만기 시 목돈을 형성해주는 제도입니다.
Q2. 가상자산 현물 ETF란?
A.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을 실제 기초자산으로 보유하는 상장지수펀드로, 간접 투자 수단입니다.
Q3. 군복무 호봉 반영은 어떤 의미인가요?
A. 군 복무 기간을 공공기관 취업 시 경력으로 인정해 임금이나 직급에 반영합니다.
Q4. 김문수의 3·3·3 주택이란?
A. 결혼, 출산 시기별로 3년씩 총 9년간 주거비를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입니다.
Q5. 이준석 청년대출은 실제로 받을 수 있나요?
A. 정책 실현 시 1.7% 고정금리로 용도 제한 없이 대출이 가능하나, 실제 실현은 차기 정부 결정 사항입니다.
결론 및 제안
2030세대를 위한 공약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. 청년의 삶을 이해하는 후보인지, 공약만 화려한지 비교할 수 있어야 합니다. 이 글을 통해 각 후보의 청년 정책이 당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지 다시 한 번 따져보세요.
기회는 스스로 만들 수 없습니다. 공약을 보고 선택하세요!
함께 보면 좋은 글
2025년 대선 1호 경제 공약 비교 이재명 vs 김문수